본문 바로가기

사주 풀이23

봄에 태어난 을목(乙木)의 사주 풀이 목(木)은 생명체이다. 사주 구성이 잘 되었는지 판가름할 때의 척도는 생명체를 잘 키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는가와 관련이 깊다. 즉, 목(木)인 생명체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면 좋은 사주이고 그렇지 않고 목(木)이 역경과 고난으로 가득 차 있는 환경이면 좋지 않은 사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칼로 자르듯 좋은 사주, 나쁜 사주로 구분할 수는 없다. 다만, 일반 사람들이 느끼는 살아가는데 필요한 욕망과 삶의 질 등을 기준으로 해 볼 때 그렇다는 의미이다. 사주에서 말하는 좋은 사주는 가정이 평화롭고 적당한 재산과 좋은 직업을 가지는 것이고, 나쁜 사주는 가정이 평온치 않고 재산은 전혀 없으며 만족한 직업을 갖지 못하는 삶이 아닐까 한다. 이러한 기준으로 사주 풀이를 해 볼 때 좋은 사주란 배우자 .. 2023. 1. 17.
겨울에 태어난 사람들이 알아야 할 사주팔자 '겨울의 갑목(甲木) 중심'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했다. 요즘은 봄과 가을의 경계선이 애매모호하지만 그래도 사계절은 있다. 사주에서 사계절은 매우 중요하다. 음양오행은 대부분 사계절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설명되기 때문이다. 봄은 생명이 탄생하여 자라는 시기이다. 따라서 봄에 태어난 사람에게는 화(火)가 필요하다. 여름에 태어난 사람은 목(木)과 수(水)가 필요하다. 그리고 가끔은 금(金)도 필요하다. 목(木)은 생명체이면서 목(木)을 통해서만 결실을 맺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름은 목(木)이 왕성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다음은 수(水)가 필요하다. 여름은 더운 계절이다. 그래서 수(水)가 조후로서 꼭 필요하다. 그리고 금(金)은 수(水)를 생성해주는 역할을 한다. 병화(丙火)와 임수(壬水)는 서로 조후로서 최고의 짝이다... 2023. 1. 10.
사주로 본 뮤지컬 난세에서의 이방원과 정도전 속이 다 후련하다. 가슴속을 후벼 파는 듯한 짜릿함과 나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는가에 대한 고민이 들었다. 뮤지컬 난세를 보고 난 후 느낌이다. 세상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뮤지컬은 '스쿨 오브 더 락'이었다. 그런데 이번 '난세' 뮤지컬을 보고 순위가 과감히 바뀌었다. 공연 내내 숨을 쉴 수가 없었다. 연기자들의 연기 실력도 최고였다. 특히 꾼 역할을 한 소정화는 천재였다. 연기며 노래며 지금까지 50년을 살아오며 최고의 배우가 아닌가 싶다. 뮤지컬 난세는 고려말에서 조선초 이방원과 정도전의 대립을 실감 나게 보여준다. 같은 길을 가자고 약속했던 그들. 서로가 한 방향을 바라볼 때는 행복했고, 하는 일마다 최고의 성과를 끌어냈다. 바로 에너지의 방향이 같아서였을 것이다. 그러나 조선이라는 나라를 개국하고 나.. 2023. 1. 10.
아내에게 집착하는 남편, 사주에서 필요한 글자는? 가을 갑목(甲木) 사례 사주는 지혜를 구하는 학문이다. 단순히 사주팔자에 있는 글자만을 가지고 분석하는 학문이 아니다. 사주 해석은 글자와 글자 간의 관계, 그 글자가 한 사람에게 미칠 영향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고 해석해야 한다. 그리고 명리연구가 혼자서 해서도 안된다. 사주를 상담하러 온 내담자와 함께 내담자의 삶에 대해 지혜를 구하는 학문인 것이다.1. 아내에게 집착하는 남편을 가진 사주 사례 분석50세 여성이다. 갑목(甲木)일간에 신(申) 월인 가을에 태어났다. 사주팔자를 전체적으로 보면 수(水)와 화(火)가 없다. 경(庚) 신(申) 금(金)이 3개로 강하다. 갑인(甲寅) 일간 바로 옆에 경(庚) 신(申) 금(金)이 강하게 발달했다. 갑목(甲木)인 나의 바로 옆에 있는 경금(庚金)과 신금(申金)이 갑목(甲木)과.. 2023. 1. 9.
자식과 남편 중 여성들은 어느 쪽을 선택할 것인가? 사주에 답이 있다 사주를 학문적으로 말하면 명리학이라고 한다. 명리학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실용학문이다. 그것을 반증해주는 내용이 정말 많지만 한 가지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하겠다. 갑목(甲木) 일간의 여성이 있다고 가정하자. 갑(甲) 목(木)의 경우 자식은 화(火)가 된다. 그리고 남편은 금(金)이 된다. 화(火)는 갑목(甲木)에게 꼭 필요한 존재이다. 계절에 상관없다. 화(火)는 갑목(甲木)인 생명체를 키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金)은 갑목(甲木)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더 많다. 만약 목(木)이 너무 많아 햇볕이 못 들어올 정도로 빽빽할 경우에는 금(金)이 간벌이나 가지치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좋을 수는 있다. 그러나 대부분 금(金)은 갑목(甲木)을 베거나 다치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갑목(甲木.. 2023. 1. 8.
사별하고 이혼하고, 여름에 태어난 갑목(甲木) 사주 사례 분석 21년 19만 명이 결혼했는데 10만 명이 이혼했다는 통계가 있다. 우리나라의 이혼율이 1등이라는 반증이다. 여기 3개의 사주가 있다. 하나의 사례는 한 번의 사별과 한 번의 이혼. 총 2번 이별한 경우이다. 두 번째 사주는 결혼을 하면 운이 더 잘 풀리는 사주이다. 세 번째는 자식과 미래, 배우자가 모두 좋은 사주이다. 소개하는 사주 모두 한여름에 태어난 갑목 일간에 대한 이야기이다.1. 두번의 이별을 경험한 사주 사례 분석52세 남성이다. 사(巳)화(火) 월에 태어난 갑(甲)목생이다. 수(水)가 1개, 목(木)이 2개, 화(火)가 2개, 토(土)가 2개, 금(金)이 1개로 3:5 신약 사주이다. 한여름의 사(巳) 월에 태어났으니 물이 꼭 필요한 사주이다. 그래서 수(水)가 용신인 사주이다. 그런데 배.. 2023.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