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풀이11

을목(乙木)의 물상론, 여린 풀 속에 숨은 강인함(3편) 사주명리학에서 을목은 작은 풀, 덩굴, 화초 같은 존재에 비유됩니다. 갑목이 큰 나무나 기둥처럼 곧게 뻗어가는 모습이라면, 을목은 그 곁에서 부드럽게 감아 오르며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그래서 을목은 연약해 보이지만 환경에 따라 무궁무진한 변화를 보여주는 독특한 기운을 지니고 있습니다.1. 물 많은 을목, 뿌리 썩는 화초 을목은 본래 습기를 머금은 풀잎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물이 너무 많아지면 어떻게 될까요. 화분 속 화초에 물을 계속 주면 뿌리가 썩어버리는 것과 같습니다. 실제로 사주에서 을목이 수(水)를 지나치게 많이 만나면 몸이 허약해지거나 배우자와의 관계가 힘들어질 수 있다고 해석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여성이 을목인데, 사주에 물이 가득하다면 결혼을 통해 배우자를 만나는 일이 .. 2025. 9. 20.
을목(乙), 작은 꽃과 풀이 들려주는 삶의 지혜(2편) 사주명리학에서 을목(乙)은 ‘작은 풀과 꽃’에 비유됩니다. 갑목이 큰 나무라면, 을목(乙)은 정원에 핀 장미, 들판의 민들레, 혹은 담벼락을 타고 오르는 넝쿨 같은 존재이지요. 그래서 을목(乙)을 가진 사람은 화려하지 않아도 은은하게 향기를 풍기며 주변을 즐겁게 만듭니다.1. 꽃은 왜 남을 기쁘게 할까요?꽃은 자기 자신을 위해 피지 않습니다. 누군가가 바라봐 주어야 그 의미가 살아나지요. 그래서 을목(乙) 기운을 가진 사람들은 혼자보다는 함께 있을 때 더 빛이 납니다. 예를 들어, 파티에서 분위기를 살려주는 사람, 친구 모임에서 재치 있게 이야기를 풀어가는 사람이 바로 을목(乙)의 기운을 가진 경우입니다. 남을 웃게 하고, 즐겁게 해 주면서 본인도 행복을 느끼는 것이지요. 2. 연약해 보여도 꺾이지 않는.. 2025. 9. 13.
을목(乙) 사주 해석: 봄을 알리는 꽃 같은 사람들(1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주명리학에서 을목(乙)의 의미와 물상론적 특징을 풀어보려 합니다. 갑목(甲)이 하늘로 곧게 솟은 큰 나무라면, 을목(乙)은 그 나무에 피어난 꽃과 덩굴, 그리고 부드럽게 퍼져 나가는 기운입니다. 초보자분들도 이해하기 쉽게, 봄꽃의 이미지를 떠올리며 이야기를 풀어가 보겠습니다. 1. 을목(乙)은 왜 꽃일까요?갑목(甲)이 땅을 뚫고 나오는 힘찬 새싹이라면, 을목(乙)은 그 새싹 위에 피어나는 꽃입니다. 꽃은 세상에 봄이 왔음을 알리는 신호죠. 개나리, 진달래, 벚꽃처럼 잠시 화려하게 피어 사람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지만 금세 지고 맙니다. 그래서 을목(乙)은 화려하지만 짧은 생명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벚꽃 축제를 떠올려 보시면 쉽습니다. 거리를 가득 메운 분홍빛 꽃잎은 환상적이지만, 비 .. 2025. 9. 6.
"계절 속 나무의 인생 이야기" 갑목(甲) 물상론(최종) 사주 명리학에서 ‘갑목(甲)’은 하늘로 곧게 뻗는 큰 나무를 의미합니다. 물상론(物象論)에서는 이 갑목을 실제 자연 속 나무의 모습에 빗대어 해석하는데, 계절과 환경에 따라 그 성질과 운명이 크게 달라집니다. 오늘은 갑목이 각 계절에 어떤 모습으로 자라고, 그 속에서 어떤 성격과 운명을 만들어내는지, 그리고 우리가 이를 통해 어떤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있는지 풀어드리겠습니다. 1. 갑목(甲)의 본성 – 햇빛과 물을 갈망하다나무에게 햇빛(병화 丙)과 물(계수 癸)은 생명줄과 같습니다. 갑목(甲) 도 마찬가지로, 병화(丙)가 위에서 따뜻하게 비추고 개수가 아래서 촉촉하게 적셔줄 때 가장 잘 자랍니다. 하지만 이 조건이 없으면, 나무는 왜소하게 자라거나 꺾이고 맙니다. 명리학적으로 이런 조합을 ‘하늘 위에 병.. 2025. 8. 12.
명리학 물상론에서 보는 갑목(甲)의 진짜 의미(5편) 명리학을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 오행(五行)은 마치 퍼즐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갑목(甲)은 물상론에서 매우 중요한 존재입니다. 오늘은 ‘갑목(甲)’을 자연의 시선으로 해석해 보며 명리학의 핵심을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1. 갑목(甲)은 자연 속에서 큰 나무갑목(甲)은 자연에서 ‘하늘을 향해 곧게 자란 큰 나무’입니다. 봄에 땅을 뚫고 올라오는 싹처럼, 갑목(甲)은 위로 뻗어나가는 성장 에너지 그 자체를 상징합니다. 이 때문에 갑목(甲)이 사주에 있으면 그 사람은 직선적이고 곧은 성품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집이 있고 원칙을 중시하며, ‘뼈대 있는 집안’의 기운도 담겨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갑목(甲)이 연지에 있으면 조상이 고지식하고 힘 있는 분일 수 있고, 월지에 있으면 부모의 .. 2025. 7. 14.
가을에 태어난 신금(辛)은 강하다. 정화(丁)가 있으면 인생이 너무 고달프다. 1. 신금(辛)이 좋아하는 오행앞에서도 누누이 얘기했지만 신금(辛)은 신강신약이 중요하지 않다. 신금(辛)은 얼마나 반짝이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신금(辛)이 좋아하는 오행은 병화(丙), 임수(壬), 갑목(甲)을 좋아한다. 병화(丙)와 임수(壬)는 신금(辛)을 반짝이게 해 주고 갑목(甲)은 신금(辛)을 더럽히는 무토(戊)의 접근을 막아주니 좋다. 싫어하는 것은 정화(丁)와 무토(戊)이다. 정화(丁)는 신금(辛)을 녹이기 때문에 싫어한다. 신금(辛)이 완전히 상처가 나 있거나 깨져있으면 정화(丁)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독수리가 부리를 바위에 부딪혀 부러뜨리고 새 부리가 나는 것만큼이나 힘들고 고난이 따른다. 이런 경우에는 고통은 크지만 그 그릇 또한 크다. 무토(戊)는 반짝이려는 습성을 가진 신금(辛)을.. 2023.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