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풀이6

가을에 태어난 신금(辛)은 강하다. 정화(丁)가 있으면 인생이 너무 고달프다. 1. 신금(辛)이 좋아하는 오행앞에서도 누누이 얘기했지만 신금(辛)은 신강신약이 중요하지 않다. 신금(辛)은 얼마나 반짝이느냐가 중요하다. 따라서 신금(辛)이 좋아하는 오행은 병화(丙), 임수(壬), 갑목(甲)을 좋아한다. 병화(丙)와 임수(壬)는 신금(辛)을 반짝이게 해 주고 갑목(甲)은 신금(辛)을 더럽히는 무토(戊)의 접근을 막아주니 좋다. 싫어하는 것은 정화(丁)와 무토(戊)이다. 정화(丁)는 신금(辛)을 녹이기 때문에 싫어한다. 신금(辛)이 완전히 상처가 나 있거나 깨져있으면 정화(丁)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독수리가 부리를 바위에 부딪혀 부러뜨리고 새 부리가 나는 것만큼이나 힘들고 고난이 따른다. 이런 경우에는 고통은 크지만 그 그릇 또한 크다. 무토(戊)는 반짝이려는 습성을 가진 신금(辛)을.. 2023. 12. 5.
사주를 해석한다는 것은 스토리를 만드는 작업이다. 한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때 까지의 삶은 이야기다.그 이야기가 박진감 넘치게 재미있을 수 있고 또는 단 한 페이지도 읽을 수 없을 정도로 지루할 수도 있다.이렇듯 사람들은 각자의 이야기를 가지고 삶을 살아간다.사주 구성 즉 배치도를 보면 이런 이야기를 염출 할 수 있다.재미있는 삶을 살지 아니면 지루한 삶을 살지.부자로 살지 가난한 사람으로 살지.명성을 떨치고 살지 산속 무연고 묘처럼 왔다 갔는지도 모르는 삶을 살지.따라서 사주 구성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왜냐하면 각자의 삶은 각자가 만들어 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주명리를 공부하거나 상담을 하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파도가 몰려올 때는 파도 근처에 가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밀물이 들어올 때는 노를 힘껏 져어야 한다. 이것이 지혜를 .. 2023. 11. 29.
가을에 태어난 정화(丁)는 힘이 강하면 따뜻하고 온화하다 가을은 음의 기운이 강해지는 시기이다. 봄, 여름은 양이고 가을, 겨울은 음이다. 따라서 음권에는 정화(丁)의 힘이 강해진다. 정화(丁)가 고마운 존재가 되기 때문이다. 신월(申月)에는 금(金)의 기운이 강하다. 따라서 정화(丁)가 금(金)을 이겨나가기 위해선 강해야 한다. 유월(酉月)은 정화(丁)에게 힘이 되는 시기이다. 금(金)의 기운이 강하긴 하지만 유금(酉金)은 기름단지이기도 하다. 그러니 정화(丁)인 불이 심지가 있고 기름이 있으니 알마나 잘 타오르겠는가? 술(戌) 중에는 정화(丁)가 있다. 그래서 정화(丁)의 뿌리가 있으니 이 또한 정화(丁)의 힘이 강해진다. 이러한 것을 고려해 볼 때 신유술(申酉戌) 월은 대체적으로 정화(丁)를 반긴다. 특히 술(戌) 월은 지장간에 신정무(申丁戊)가 있다. .. 2023. 3. 21.
행복을 쫓아 앞만 보고 달려가는 삶, 행복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한여름에는 수(水)가 조후 용신이다. 그리고 한 겨울에는 화(火)가 조후 용신이다. 그래서 한여름과 한 겨울의 특성이 강한 사람들의 사주 풀이는 그나마 편하다. 명확하기 때문이다. 조후 용신은 모든 용신에 우선한다. 왜냐하면 생명체가 자라기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론을 접하면서 수없이도 공부하여 당연히 그렇다고 알고 있는 내용이다. 하지만 왜 그런지에 대해선 깊이 고민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조후 용신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22년의 여름은 어느해 보다 덥다. 그리고 그 기간이 길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의 영향이라고 뭉뚱그려서 얘기한다. 그렇게 말하는 게 복잡하지 않고 부가적인 설명이 필요 없기 때문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그러나 자연은 분명히 이유를 가지고 있을 것.. 2023. 1. 19.
사회에 이바지 하는 귀격사주 목화통명(木火通明)에 대한 이야기 사람들 중에 향기가 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을 보면 돈이 많아도 지위가 높아도 시샘이 나는 것보다 먼저 존경스럽다. 닮고 싶고 팔로우하고 싶다. 이런 사람들이 바로 목화 통명(木火通明) 사주의 대명사이다. 목화 통명(木火通明)은 봄에 아름다운 꽃을 활짝 피워서 겨울 내내 지쳐있던 사람들에게 희망을 제공한다. 그래서 사람들을 불러들이고 사람들 속에서 사랑을 받는다. 봄에 핀 꽃은 나비와 벌이 가득하고 향기가 매혹적이며 꿀이 가득하다. 봄소식을 전하는 제비와 같으며 희망과 사랑을 꽃피우게 하는 매개체이다. 이것이 바로 목화 통명(木火通明)의 사주를 가진 사람들의 특성이다.1. 목화통명(木火通明)의 조건목화통명(木火通明)은 목(木)과 화(火)가 서로 통하여 빛이난 다는 뜻이다. 명리학에서 얘기하는 상생상극에.. 2023. 1. 16.
아내에게 집착하는 남편, 사주에서 필요한 글자는? 가을 갑목(甲木) 사례 사주는 지혜를 구하는 학문이다. 단순히 사주팔자에 있는 글자만을 가지고 분석하는 학문이 아니다. 사주 해석은 글자와 글자 간의 관계, 그 글자가 한 사람에게 미칠 영향 등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고 해석해야 한다. 그리고 명리연구가 혼자서 해서도 안된다. 사주를 상담하러 온 내담자와 함께 내담자의 삶에 대해 지혜를 구하는 학문인 것이다.1. 아내에게 집착하는 남편을 가진 사주 사례 분석50세 여성이다. 갑목(甲木)일간에 신(申) 월인 가을에 태어났다. 사주팔자를 전체적으로 보면 수(水)와 화(火)가 없다. 경(庚) 신(申) 금(金)이 3개로 강하다. 갑인(甲寅) 일간 바로 옆에 경(庚) 신(申) 금(金)이 강하게 발달했다. 갑목(甲木)인 나의 바로 옆에 있는 경금(庚金)과 신금(申金)이 갑목(甲木)과.. 2023.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