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에 태어난 을목2 “을목, 세상을 향기롭게 피우는 꽃의 인생” <마지막 이야기> 사주에서 을목(乙)은 ‘꽃’에 비유됩니다. 갑목(甲)이 거대한 나무라면, 을목(乙)은 그 나무의 끝에서 피어나는 꽃입니다. 작고 연약해 보이지만, 세상을 향기로 물들이는 힘을 지닌 존재이지요. 하지만 이 꽃도 언제, 어디서 피느냐에 따라 운명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1. 가을의 을목(乙) : 향기 없는 꽃, 그리고 벌나비 이야기을목(乙)은 사주에서 ‘꽃’에 해당합니다. 갑목(甲)이 크고 곧은 나무라면, 을목(乙)은 그 끝에서 피어난 섬세한 아름다움과 매력을 지닌 꽃이죠. 그런데 이 꽃이 가을에 피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가을은 이미 수정(受精)의 시기가 지나 열매를 맺는 계절입니다. 봄과 여름 동안 활짝 피어나던 꽃들은 벌과 나비의 도움으로 열매를 맺지만, 가을에 피어난 꽃은 이미 계절의 순환에서 한.. 2025. 10. 11. 쉬어가는 계절 겨울에 태어난 을목(乙) 일간의 삶에 대한 이야기 겨울은 을목(乙)에게 냉혹하다. 한랭 한습 하면 꽃인 을목(乙)은 살아가기 힘이 든다. 겨울은 쉬어가는 계절이다. 우리 인간 또한 같을 것이다. 자연의 섭리를 이기려 하면 크게 다친다. 성경에 나오는 노아의 홍수가 그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현재 지구는 몸살을 앓고 있다. 자연을 이기려는 인간들의 이기적인 행동의 결과가 아닐 수 없다. 북극의 빙하가 녹는가 하면 유럽은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다. 봄, 가을은 어느 순간부터 피부로 느껴지는가 싶으면 지나간다. 여름은 덥고 습하다. 과거 마을 어귀나 마당에 나이 많은 나무 밑에서 부채 하나면 여름을 나던 시대는 추억 속으로 사라진 지 오래다. 요즘은 여름이 되었다 싶으면 열대야로 인해 에어컨 없이는 지낼 수가 없다. 가.. 2023. 1.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