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간은 명리학의 핵심이다. 명리학에 대한 학문의 깊이가 깊어질 때쯤 접하게 되는 것이 지장간이다. 쉽게 말해서 지장간은 지지 글자에 천간 글자가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조합이다. 인간의 삶을 단순하게 볼 수 없다는 징표 이기도 하다. 이렇듯 명리학은 인간의 삶을 단순하게 보지 않았고 자연과의 조화를 통해 실질적으로 밝혀내려고 노력했다. 천간은 통상 개인의 의지와 생각, 관념을 표현한다. 지지는 실제적인 개인의 삶이나 생활, 환경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지장간은 지지 안에 천간의 글자를 넣었다. 이는 인간의 삶은 이상과 현실이 조화를 이루고 변화를 추구하는 것임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이렇듯 지장간은 우리의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명리학 공부를 시작할 때는 지장간을 제외한 천간과 지지 글자만을 가지고 음양오행, 십신, 신강신약, 대운과 세운을 통해 사주를 분석하고 해석했다. 그러다가 어느 정도 실력이 쌓이면 지장간도 함께 볼 수 있게 된다. 즉, 명리학은 한 인간의 삶을 해석할 때 사주 원국에 나와있는 8개의 글자뿐만 아니라 지장간 속에 포함되어 있는 최소 8개에서 최대 12개의 글자를 합치고 대운과 세운의 글자 4개를 조합해야 해석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의 수만을 보아도 한 사람의 사주팔자는 그 한 명 만의 바코드임을 알 수 있다.
1. 지장간의 원리
지장간은 계절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봄인 인묘진, 여름인 사오미, 가을인 신유술, 겨울인 해자 축을 기준으로 봄이 지나면 여름이 오고 여름이 지나면 가을이 오듯이 각 지장간 또한 이러한 현상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지장간은 이러한 계절의 글자인 지지 글자 안에 2개에서 3개의 천간 글자를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지장간 글자는 첫 번째 나오는 글자를 여기라고 하고 두 번째 글자를 중기, 세 번째 글자를 본기라고 한다. 여기는 앞 계절에서 넘어온 기운이다. 예를 들어 진토의 경우 지장간이 을계무이다. 을은 바로 앞글자인 묘목의 지장간인 갑을에서 끝 글자인 을목을 여기로 두고 있다. 이렇듯 지장간은 계절의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다음은 중기이다. 중기는 해당 지지 글자의 삼합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인목의 지장간 중기 글자는 병화이다. 인목으로 시작되는 삼합은 인오술 화국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목의 지장간 중기 글자는 화에 해당하는 병화를 쓴다. 마지막 글자는 본기라고 한다. 본기는 제 계절을 나타내는 동시에 다음 계절의 첫 글자로 사용된다. 인목의 경우 본기는 갑목이다. 또한 봄을 나타내는 인묘진의 계절에서 인 다음에 오는 묘목의 첫 지장간이 갑목이다. 이러한 현상을 볼 때 지장간은 자연 현상을 인간의 삶에 그대로 적용한 오묘하고 실질적인 학문임을 확신할 수 있다.
2. 지장간의 흐름
한편, 지장간은 역마, 도화, 화개로도 나눈다. 역마는 주로 계절의 시작을 나타낸다. 삼합의 첫글자이기도 하다. 역마는 움직임을 의미한다. 계절의 시작을 나타내므로 각 계절의 흐름을 이끌기 때문이다. 인목은 봄을 이끌고 사화는 여름을 이끌며, 신금은 가을을, 해수는 겨울을 이끈다. 역마에 해당하는 지장간 글자는 3개이다. 이 3개 글자가 한 달의 기운을 책임진다. 역마는 순서대로 7일, 7일, 16일을 관장한다. 예를 들면 인목의 경우 지장간이 무병갑인데 인월의 경우 7일은 무토가 관장하고, 7일은 병화가, 16일은 갑목의 기운이 관장한다. 따라서 인월은 따스함이 시작되어서 목의 기운이 강해지는 달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도화이다. 도화는 즐거움을 추구하는 글자이다. 주로 각 계절의 중간 글자이며, 삼합의 중간 글자에 해당된다. 도화에 해당하는 글자는 자오묘유이다. 도화의 지장간 글자는 2개이다. 이 글자는 모두 지지 글자와 같은 성질의 천간 글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봄에 해당하는 인묘진의 경우 도화는 묘목이다. 이때 묘목의 지장간은 갑목과 을목이다. 즉, 도화의 기운이 흐를 때는 도화에 해당하는 오행만의 기운이 흐른다는 얘기이다. 도화는 앞글자가 10일, 뒷글자가 20일을 관장한다. 마지막으로 화개이다. 화개는 총명함을 상징한다. 한 계절에서 다음 계절로 넘어가는 시기이기도 하다. 그래서 양가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는 겉과 속이 다르다고도 할 수 있다. 그래서 화개는 모두 토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진술축미가 바로 화개의 글자이다. 토가 환절기와 연결을 나타내는 이유도 여기서 찾아볼 수 있다. 화개에 해당하는 지장간은 3개의 글자로 형성되어 있는데 각기 9일, 3일, 18일을 관장한다. 지장간이 관장하는 한 달의 글자를 파악해야 하는 이유는 태어난 일자가 어느 일에 해당하는가에 따라 가장 강한 기운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복채라기보다 글 중간이나 위아래에 있는 00 한번씩 눌러주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더라구요. 감사합니다.
'사주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에 태어난 갑목 일간의 사주를 가진 사람은 어떤 삶을 살아갈 것인가? (0) | 2022.12.23 |
---|---|
명리학 입문자도 쉽게 사주 풀이 할 수 있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2.12.22 |
누구나 쉽게 재미로 볼 수 있는 사주의 한 분야인 신살 (0) | 2022.12.16 |
재미로 사주를 보는 방법의 하나인 십이운성과 십이신살(1) (0) | 2022.12.15 |
개인의 사회생활을 알려주는 삼합과 각종 사고를 예고하는 충 (0) | 2022.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