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계수2

약수이자 생명수인 계수(癸) 특성 지금까지 천간 글자들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주를 해석한다는 것은 천간과 지지의 글자들이 일간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그 관계성을 해석하는 작업이다. 또한 각 글자별로 가지고 있는 음양오행의 특성을 가지고 에너지의 흐름을 계절이나 십신과 연관 지어 해석하는 과정인 것이다. 이는 수차례 말했지만 서양의 성격유형 검사와 일치한다. 아니 서양의 성격유형 검사에는 성격이 어떠하다는 사주원국만을 이야기하지만 명리학에서는 사주원국의 성격 DNA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흘러가면서 이루어지는 운도 해석할 수 있으니 서양의 학문보다 훨씬 더 확장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번장에서는 마지막으로 계수(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겠다. 계수(癸)는 모든 활동의 종지부이다. 목(木)에서 시작된 활동인 수(水)에서 마무.. 2024. 4. 22.
생명체의 어머니인 임수(壬)와 순수한 생명 수 인 계수(癸) 1. 들어가며천간의 마지막 글자인 임수와 계수. 모든 생명체가 봄에 태어났다가 겨울이 되면 다시 땅속으로 들어가서 다음 삶을 준비한다. 갑을 목에서 태어나서 임계수에서 마무리를 한다. 만물의 마무리를 담당하지만 또 다른 시작을 준비하는 글자이다. 그래서 계절적으론 겨울을 의미하고 방향으론 북쪽이다. 검은색이며 건강상으론 신장, 방광, 비뇨기 계통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럼 천간의 마지막 글자인 임계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2. 모든 생명체의 어머니와 같은 임수(壬水)임수는 양의 기운을 가진 수이며 강과 호수에 비유된다. 지상에서 활동하는 많은 양의 물이다. 그래서 모든 생명체를 잉태하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이다. 따라서 정을 그리워하고 따듯함을 원하며 생명체를 발아시키고 키워내는 역할을 한다. 겨울을 의미하.. 2022. 11. 24.